2023. 1. 23. 02:07ㆍ직장 생활
천만년만에 티스토리 글입니다.
요즘 육아휴직을 하면서 계속 네이버 블로그만 작성 중이었는데 블로그 특성상 아무래도 단편적인 글을 쓰다 보니 되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당분간은 티스토리 작성에 집중하려 합니다.
난임휴직 후 임신에 성공해 몇달간 근무를 한 후 육아휴직을 신청했습니다. 휴직을 하면서 간호직 공무원의 장단점을 다시 한번 깨닫고 있습니다.
1. 복직
물론 기업에도 휴직제도가 잘 갖추어져 있지만, 제 주변 대형병원 동기들을 보면 출산 휴직만 하고 복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직했을 때 본인이 근무하던 부서 외 다른 곳으로 발령이 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공무원도 복직한다고 해당 부서로 발령나진 않지만, 공무원의 업무 특성 상 인사이동이 잦아 다른 부서로 발령돼도 그러려니 합니다.
2. 휴직기간
공무원의 휴직기간은 3년이고 보통 2년을 출산 후에 쓰고 나머지 1년은 자녀가 초등학교 1학년 때 쓰는 편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집에 점심때 오기 때문입니다. 일반 기업은 1년 내지 2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공무원도 1년만 유급이기 때문에 나머지 2년은 무급으로 지내야 합니다. 빨리 의무 육아휴직기간이 1년 6개월로 연장되었으면 하는 소망이 있습니다.
3. 승진
공무원도 아무래도 휴직을 하면 승진에서 밀립니다. 하지만 육아휴직 1년은 근무연수에 해당되고 근속승진 제도가 있기 때문에 심적으로 안정이 됩니다.
4. 월급
이 부분이 아쉬운데 아무래도 기업에 비해 공무원 월급은 70%라고 보면 됩니다. 워라밸을 택한 대가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5. 학벌
공무원 사회에서는 출신학교보다는 능력이나 연줄이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BIG5 병원에서는 최소 제가 퇴사할때까지도 학벌이 중요했습니다. 팀장에 오르려면 석사는 필수였고 자대출신이나 학벌이 좋을수록 더 높은 자리에 오르기 유리했습니다. 연줄이 좀 더 통하는 곳은 공무원 사회라고 느꼈습니다.
6. 상하관계
공무원 사회는 간호직만 근무하지 않고 각종 직렬과 협업하기 때문에 병원보다 상하관계 피라미드 규모가 더 큽니다. 간호사의 업무범위는 의사의 order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공무원은 의사-간호사 관계도 중요하지만 규정, 매뉴얼에 더 중점이 가있는 직업입니다. 그래서 의사와 크게 부딪힐 일이 적습니다. 오히려 다른 직종이나
7. 개인과 조직
제가 간호직으로 근무하면서 느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병원에서 근무할 때는 나 없어도 이 조직, 이 팀은 잘 운영될 것이고 나는 톱니바퀴라는 생각이 컸습니다. 그런데 공무원으로 일하다보니 여전히 톱니바퀴지만 내가 없으면 좀 삐걱거리겠다는 조직에 대한 걱정이 듭니다.
아무래도 계속 자리에 사람이 바뀌다 보니 누가 그자리에 있는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일을 소홀히 해도 잘 티가 안나는 자리도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런 것 같습니다. 하지만 병원에서는 교대근무가 기본이므로 제가 일을 잘 못해놓으면 바로 다음 교대자가 알아차립니다.
8. 업무범위
보건소 업무를 하다보면 도대체 나의 업무는 어디까지 인가라는 의문이 듭니다. 병원에서 저는 주어진 일만 하는 간호사 1인이었는데, 간호 공무원은 multi player 가 되어야 합니다. 서류 작업, 보고, 민원상대 등등 넓고 얇은 업무범위입니다.
이상으로 육아휴직 중인 휴직자 1인의 간호직공무원과 대형병원 간호사에 대한 짧은 비교였습니다.
'직장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V line 잘 잡는 방법(손재주 없는 간호사의 극복 Tip) (0) | 2023.03.25 |
---|---|
대학병원 간호사 탈임상 이유 & 성공 후기(ft.실패후기)-2편 (0) | 2021.11.06 |
대학병원 간호사 탈임상 이유 & 성공 후기(ft.실패후기)-1편 (0) | 2021.11.06 |
간호대 실습 후기/간호사 과별 특성/탈임상 간호사 (0) | 2021.10.05 |
간호학과 선택 고민/간호학과 전과고민/간호학과 실습후기 (0) | 2021.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