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27. 23:05ㆍ나의 연애와 결혼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부부상담에 대하여 작성해 보겠습니다. 부부상담의 비용, 상담소 선택기준, 효과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1. 상담 비용
상담은 보통 10회를 기준으로 진행하며 적정 비용은 회당 10만 원에서 20만 원 사이입니다. 가격이 저렴한 경우 8만 원도 있었습니다. 이혼조정위원회 이력이 있는 정신과 전문의가 상담하는 경우 회당 50만 원이었습니다. 여러 상담소를 비교한 후 제가 선택한 곳은 2인 90분 14만 원이었는데 몇 년 전이라 가격이 올랐을 수도 있습니다.
2. 상담소 자체 특징
1) 체인점이 아닌 개인이 운영할 것
체인점에서 진행해 봤을 때 상담을 하며 시간이 촉박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물론 제 개인적 경험이지만 상담가가 실적을 쌓으려는 것 아닌가 의심이 들었습니다. 상담 외에 각종 심리 검사를 제시했는데 그 가격도 만만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본인 소유의 상담소가 조금 더 상담을 꼼꼼히 진행하는 느낌을 주었습니다.
2) 1회씩 상담 후 비용지불이 가능할 것
부부상담은 이혼, 이사, 상담가와 상담 스타일이 맞지 않음 등 여러 복합적인 이유로 중단될 수 있으므로 1회씩 결제하는 상담소를 추천합니다.
3. 상담가의 자질
1) 상담심리사 1급 소지 여부
우선 상담가가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을 소지하고 있을 것이 제가 상담소를 선택하는 기준이었습니다. 1급과 2급의 차이가 있다고 들었기 때문입니다.
2) 상담가의 중립적인 태도
상담을 할 때 부부사이에서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는지도 보아야 합니다. 제 경우 첫 번째 상담가가 부부 한쪽을 질책해서 상담하기가 곤란했습니다. 물론 어느 한쪽이 명백한 잘못을 했어도 상담가는 절대 누군가의 편을 들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3) 상담가와 내담자의 합
상담가와 본인이 잘 맞는지도 중요한 사항입니다. 상담 이후 부부싸움이 감소하는지 안 하는지, 즉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아도 매 상담 이후에 깨달음이 생겨야 합니다.
4. 상담 진행 및 횟수
상담 내용은 원가족(내담자의 부모와 형제자매)과의 관계, 부부가 서로에게 원하는 모습, 기존의 대화 방법 성찰, 배우자가 어떤 말과 행동을 보일 때 힘든지 등을 함께 알아봅니다.
첫 번째 상담에서는 상담가가 기본 가계도를 조사하고 각 내담자의 부모와 형제자매를 조사합니다.
두 번째 상담부터는 대학교처럼 매 상담 전에 과제를 해서 갑니다. 제 경우 빈칸 채우기 형식으로 진행했는데 예를 들면 '내가 배우자에게 바라는 모습은 A 하는 것이다.'라는 문장이 있고 그와 연결된 추가 질문이 있습니다. 가령, 'A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나의 기분은 B 하다.'와 같습니다. 단순해 보이나 단편적인 생각을 합쳐서 큰 숲을 보게 해주는 효과가 있었고 과제를 해나가는데 큰 부담이 없었습니다.
제 경우 개인사정으로 10회를 마치지는 못했고 6번 정도 상담을 받았습니다.
5. 부부상담 효과
1) 자아성찰
매우 뻔한 단어이지만 이 단어만큼 더 부부상담의 장점을 표현해 주는 것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제가 부부상담을 통해 얻은 가장 큰 교훈은 저와 제 배우자는 제 부모와 다른 사람이란 것입니다. 제 부모님에게 충족되지 못했던 점을 배우자에게 바라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우리는 모두 각자 부모에게 받은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새로운 사람을 배우자로 맞이한다고 합니다. 그 과정에서 더 큰 상처를 얻을 수도 있는 위험성은 미처 대비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2) 서로에 대한 이해
자기도 인식하지 못한 유년기의 상처가 상담을 하며 떠올립니다. 이를 배우자가 듣고 '아, 그래서 저 사람이 이렇게 행동한 것이겠구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사람의 행동이 어떤 사고에서 나온 것인지 상담 중 상세히 알게 되어 행동에 대한 이해가 가능합니다.
3) 대화방식의 변화
부부상담을 하면 서로 비난하지 않고 대화하는 법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기존 대화에서 잘못된 점을 상담가가 짚어주고 수정하도록 합니다. 제 경우 바로 대화가 개선되지는 않았지만 상담 이후 몇 개월에 거쳐 천천히 변화했습니다.
6. 이혼하는 이유
우리가 이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배우자의 외도처럼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제외하고 크게 성격 및 가치관 차이가 가장 클 거라고 생각합니다. 시댁, 친정과 갈등이 있거나 가사노동 분담, 육아 스트레스, 경제적 문제 등일 것입니다. 이혼이 정답일지 아닐지 고민이 된다면 마지막 지푸라기를 잡는 심정으로라도 부부상담을 해보시길 권유합니다. 저 또한 '과연 이게 효과가 있을까?'라는 의심으로 시작했지만 몇 개월이 지난 지금 부부 사이가 많이 개선되었고 상담이 큰 영향을 주었다고 느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내용은 개인의 주관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나의 연애와 결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가 술을 마시자고 하는 이유 (0) | 2023.03.05 |
---|---|
입덧 완화 음식과 제품 추천 (0) | 2022.03.12 |
임신 6주차 배아가 안 보일 때 (0) | 2022.03.10 |
난임 극복기 3편-배란 테스트기 올바른 사용법과 임신 테스트기로 보는 임신 성공 (0) | 2022.03.09 |
난임 극복기 2편-난임휴직과 난임병원 방문 (0) | 2022.01.17 |